티스토리 뷰

반응형

 

소아 응급실 찾기

 

아이가 갑자기 아프거나 위급한 상황이 생기면 부모는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미리 서울 소아응급실과 전국 소아응급실 정보를 알고 있다면 한결 더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지 않으면 필요할 때 놓칠 수 있으니, 서울 소아응급실 리스트와 달빛어린이 병원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아래 정보를 통해 든든한 대비책을 마련해 두세요! 

 

소아응급실 찾기
소아 응급실 찾기

 

소아응급실이란 무엇일까?

 

소아응급실은 만 15세 이하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전문적인 진료를 제공하는 공간입니다. 성인 응급실과 달리 아이들의 신체 특성에 맞춘 장비, 소아청소년과 전문 의료진, 전용 병동 등이 갖추어져 있어 부모에게는 든든한 안전망이 됩니다. 특히 보건복지부 지정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는 더욱 강화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아이 응급 상황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소아 응급실 찾기



응급실 방문 전 꼭 확인해야 할 사항

 

모든 상황이 응급실로 직행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순 감기 증상이나 경미한 열은 일반 소아청소년과에서도 충분히 진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호흡 곤란, 탈수, 의식 저하와 같은 위험 신호가 있다면 지체 없이 소아응급실을 찾아야 합니다. 또한 신분증, 보험증, 기존 진료 내역은 빠짐없이 챙겨야 의료진이 빠르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만약 큰 병이 아니라면 응급실 보다 비용 부담이 적고, 전문적인 소아진료를 받을 수 있는

'달빛어린이 병원'에 가면 좋습니다.(2025년 9월 기준, 전국 125개소 운영중)

 

달빛어린이 병원 찾기

 

 

 

전국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리스트

아래 표는 보건복지부 지정 전국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정보입니다. 방문 전 반드시 운영 여부와 진료 가능 여부를 응급의료포털에서 확인하세요.

 

지역 병원명 주소 대표번호
서울 서울대학교병원 서울 종로구 대학로 101 1588-5700
서울 삼성서울병원 서울 강남구 일원로 81 1599-3114
서울 서울아산병원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1688-7575
경기 아주대학교병원 경기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164 1688-6114
인천 인하대병원 인천 중구 인항로 27 032-890-2114
대전 충남대학교병원 대전 중구 문화로 282 042-280-7114
대구 칠곡경북대학교병원 대구 북구 호국로 807 053-200-2000
부산 부산대학교병원 부산 서구 구덕로 179 051-240-7000
울산 울산대학교병원 울산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877 052-250-7000
광주 전남대학교병원 광주 동구 제봉로 42 062-220-5114
전북 전북대학교병원 전북 전주시 덕진구 건지로 20 063-250-1114
강원 강원대학교병원 강원 춘천시 백령로156 033-258-2000
충북 충북대학교병원 충북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776 043-269-6114
경남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경남 창원시 성산구 삼정자로 11 055-214-1000



응급의료포털 활용법

 

실시간으로 운영 중인 응급의료기관은 응급의료포털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상단 메뉴에서 ‘응급의료기관 찾기’를 클릭한 뒤 ‘소아청소년과’ 필터를 선택하면 현재 운영 중인 병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휴나 심야 시간대에는 운영 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체크하세요.

 

응급의료포털에서 확인하기

 

 

 

그 외에 가장 빠른 방법

네이버나 카카오지도에 '야간진료 소아과'를 검색 해보세요. 응급실을 찾을 땐 '소아 응급실' 로 검색하면 그 지역 응급실이 나옵니다. 각 지역에서 소아 응급실 및 야간진료 소아과를 검색하면 지도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소아 응급실 찾기

 

 

아이 건강은 예측할 수 없기에 사전 대비가 곧 안심입니다. 소아응급실 위치와 응급의료포털 활용법을 평소에 숙지해 두면 갑작스러운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가까운 병원 정보를 확인하고 메모해 두세요. 여러분의 작은 준비가 아이의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Q&A

 

Q1. 모든 증상이 소아응급실로 가야 하나요?
A1. 아닙니다. 경미한 증상은 일반 소아청소년과에서 진료하면 되고, 호흡 곤란이나 의식 저하 같은 중증 상황일 때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Q2. 응급실에서는 바로 진료가 가능한가요?
A2. 응급실은 중증도에 따라 우선순위가 정해집니다. 따라서 심각하지 않은 경우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Q3. 응급실 갈 때 꼭 챙겨야 하는 것은?
A3. 보호자와 아이 신분증, 건강보험증, 병원 진료 내역을 반드시 지참하세요.

 

Q4. 응급의료포털은 어떻게 활용하나요?
A4. 응급의료포털에서 ‘응급의료기관 찾기’를 클릭하고 소아청소년과 필터를 선택하면 현재 운영 병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5.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와 일반 응급실 차이는?
A5.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는 아이 진료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과 전용 장비를 갖춘 시설로 더욱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